국내 지재권
|
종업원 등은 직무발명에 대하여 특허 등을 받을 수 있는 권리나 특허권 등을 계약이나 근무규정에 따라 사용자등에게 승계하게 하거나 전용실시권을 설정한 경우... |
4. 직무발명의 사전예약승계직무발명의 사전예약승계란, 종업원이 직무발명을 완성하는 경우 그 직무발명에 대하여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 내지 특허권을 사... |
(1) 사용자의 권리가. 통상실시권 취득사용자 등은 직무발명에 대하여 종업원 등이 특허 등을 받았거나 특허 등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승계한 자가 특허 등을 ... |
(1) 종업원의 권리가.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 내지 특허권의 취득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발명의 완성으로부터 특허 등록 시까지 발명자를 보호하기 위한... |
1. 직무발명의 귀속에 관한 이론(발명자주의 v. 사용자주의)직무발명에 대하여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 내지 그 특허권의 귀속에 관하여는 두 가지 입장이 존... |
대학 교수등의 직무발명 성립요건통상 대학이라 칭하는 고등교육법 제2조 각 호의 학교는 동법 제3조에 따라 국립학교, 공립학교, 사립학교로 구분되어 있고 그 ... |
(1) 발명을 하게 된 행위발명을 하게 된 행위란 발명을 착상하여 완성을 하기까지의 행위로서 사색적 행위(예컨대 이론적 추구, 문헌 조사 등)뿐만 아니라 이것... |
2. 성질상 사용자등의 업무 범위에 속하는 발명종업원 등의 발명이 직무발명에 해당하려면 종업원 등의 발명이 그 직무에 관한 것이어야 할 뿐더러, 성질상 사용... |
(1) 종업원등의 개념법 제2조 제2호는 직무발명의 주체를 종업원, 법인의 임원 또는 공무원으로 정하고 있으나, 각각의 개념에 대하여는 별도로 언급하지 아니하... |
직무발명의 정의(법 제2조 제2호)직무발명이라 함은 종업원, 법인의 임원 또는 공무원이 그 직무에 관하여 발명한 것이 성질상 사용자·법인 또는 국가나 지방자... |
|
|